지루한 장비 마무리 작업을 하면서 보스 몰래 ^^; 블로깅을 하느라 오늘은 좀 포스팅이 많은 것같다.
알짜님의 오늘 포스팅을 보니 비장한 선언을 하셨길래 확인해보니 티스토리에 Callback기능에 관련한 내용이었다. 그 기능에 대한 알짜님의 생각을 들어보니 상당히 중요한 트랜드가 될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과, 또한 약간의 귀찮음으로 인해서 악펌으로 여겨질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아주 편하고 좋은 방어책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그러면서 네이버 얘기가 나오면서, 인용된 태그박스를 보니 나 또한 "내가 이방인인가"라는 생각에 쉽게 수긍이 간다. -,.- 나도 지식인 자주 들어가는데... 쩝
최근 티스토리에서 회원들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Callback 기능 플러그인을 추가하였다.
오늘 포스팅한 글을 네이버 블로그에 테스트해 본 결과 아래와 같이 원문보기와 저작권자가 확실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문득 이것이 전혀 관계없는 애드센스 아이디어와 오버랩되면서 오히려 티스토리 블로그 홍보수단으로 꽤 괜찮은 툴로도 쓰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즉, '광고주'가 곧 나의 '티스토리 포스트'이고, '원문보기'라는 글은 '구글 광고'에 대응하는 다음과 같은 애드센스 포맷과 유사한 느낌을 준다.
그렇다면, 네이버나 다음 기타 가입형 블로그에 미러링 사이트 유형의 블로그를 개설한 뒤 이를 본인의 티스토리에 연결하는 하나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름하여, "자펌"이라고나 할까.. 하지만, 이는 자펌에서 훨씬 더 나아가 팀블로그 글이나 RSS 받는 글을 저자간 상호 허락하에 "펌"을 해줌으로써 원 저자의 글을 널리 홍보하는 수단으로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물론, 네이버 블로거 중 "악펌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오른쪽 클릭 비활성화"나 "스크랩 금지"같은 설정은 기본으로 해주어야 할 것이다. (만능책은 아니겠지만..)
국내 블로거 현실이 대다수 블로거가 네이버 블로그와 같은 가입형 블로그라는 성벽에서 맴도는 것을 생각하면 티스토리의 "Callback" 플러그인은 그 성벽을 허무는 또하나의 강력한 툴이 될 것이라 믿는다. 작은 우주 네이버가 티스토리 블로거들의 callback sphere가 되어갈까? 과연, 네이버가 어떤 대응을 할 지 무척 궁금해진다.
문득, '네이버 블로거의 화두에 친숙해질 필요가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해서, 지금 이 시각 네이버 블로그와 블링크에 게재된 태그를 확인해본 결과...
FTP를 통해 {Tettertools 설치경로}/plugins 폴더로 전송한다. ex) /blog/plugins/Wooya_ALimi
관리자 모드 > 환경설정 > 플러그인 관리 > 실시간 알림이 사용함으로 체크합니다.
관리자 모드 > 환경설정 > 플러그인 관리 > 설정을 클릭하여 설정정보를 확인합니다. (꼭 한번은 클릭해야 합니다.. Sync Code를 발급받기 위해서..)
Sync Code란? 일종의 Password로써 타인이 자신의 블로그와 동기화 악용을 방지하기 위한 code입니다.
동기화(Sync)가 필요한 이유? 첫째,대부분의 사용자의 네트워크는 유동아이피가 할당됩니다. 이 때문에 블로그와 사용자간에 정보교환을 위해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동기화(Sync) 작업이 필요합니다. 둘째,다중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프로그램 알고리즘 관련)
댓글을 달아 주세요
우리 몽군이 사진 바로 세워주세욤. ㅋㅋ
ㅜㅜ 귀찮여... 근데 페북 댓글로 안하고 왜 또 이걸로!